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영상갤러리

제목 꼬꼬청 시즌 2. UN SDGs 목표 17. 지구촌 협력 강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5-12 조회수 24

 

지속가능(SDGs)한 청소년활동, 강원을 물들이다

 

안녕하세요.

강원특별자치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입니다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청소년 이야기-꼬꼬청

시즌 2. 지속가능한 청소년 이야기]

UN SDGs 17. 지구촌 협력 강화'편

 

2015년 UN 총회에서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결정한 인류 공동 목표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우리말로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해 매월 알아보는 시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UN SDGs 목표 9번 '09. 산업의 성장과 혁신 활성화 및 사회기반시설 구축'에 대한 세부목표(17.1~19)입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해 영상에서 쉽게 다루어진 내용에 더하여 아래 내용을 함께 참고해주세요.

 

Finance 재원

17.1 세금 및 기타 공공 수익 징수 역량 강화를 위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국제사회 지원 등을 통해, 국내 재원 동원을 강화한다.

17.2 선진국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국민총소득(GNI) 대비 0.7%까지 확대하고, 최빈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를 국민총소득 대비 0.15-0.20%까지 제공하겠다는 공약 달성을 포함하여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약속을 완전히 이행해야 한다. ODA 공여국에게는 최빈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규모를 국민총소득 대비 최소 0.2%를 목표로 설정하도록 고려할 것을 권장한다.

17.3 개발도상국을 위해 다양한 출처로부터 재원을 추가적으로 동원한다.

17.4 적절한 경우 부채조달, 부채탕감, 부채조정을 위한 정책 조율을 통하여 개발도상국이 장기적인 부채상환능력(debt sustainability)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고채무빈곤국(HIPC)의 채무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외채문제에 대응한다.

17.5 최빈국을 위한 투자증진계획을 채택하고 이행한다.

 

Technology 기술

17.6 과학, 기술 및 혁신에 대한 남북 · 남남 · 삼각협력 등의 대륙 및 국가간 협력과 접근을 강화하고, 글로벌 기술촉진 메커니즘 활용 및 특히 UN 차원에서 마련된 기존 메커니즘 간의 조정을 개선하여 상호 합의된 조건에 따른 지식공유를 확대한다.

17.7 상호 합의에 의한 양허 및 특혜 조건을 포함하여 개발도상국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청정기술 및 친환경기술의 개발, 이전, 보급, 활용을 증진한다.

17.8 2017년까지 최빈국을 위한 기술은행과 과학, 기술 및 혁신 역량강화 메커니즘을 완전히 운용하고, 특히 정보통신기술(ICT)과 같은 구현기술의 활용을 강화한다.

 

Capacity-building 역량강화

17.9 모든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을 위해 수립된 개발도상국의 국가계획을 지원할 수 있도록 효과적이고 목표지향적인 역량강화를 이행하며, 이를 위해 국제사회 지원(남북 · 남남 · 삼각 협력 포함)을 강화한다.

 

Trade 무역

17.10 도하개발의제의 최종협상 결과를 포함하여, 보편적이고, 규칙에 기반하며, 개방적이고, 비차별적이며, 공평한 세계무역기구(WTO) 산하 다자무역체제를 증진한다.

17.11 2020년까지 특히 전 세계 수출량에서 최빈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두 배로 늘리기 위해 개발도상국의 수출을 대폭 늘린다.

17.12 최빈국 수입품에 대한 특혜원산지규정이 투명하고 단순하며 시장접근 촉진에 기여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세계무역기구(WTO) 원칙에 따라 모든 최빈국에 대해 영구적인 무관세 · 무쿼터 시장접근을 적시에 이행하도록 한다.

 

Systemic issues 시스템 이슈 / Policy and institutional coherence 정책 및 제도 일관성

17.13 정책 조정과 정책 일관성 등을 통해 글로벌 거시경제의 안정성을 강화한다.

17.1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 일관성을 강화한다.

17.15 빈곤퇴치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하는데 있어 각국의 정책적 재량과 리더십을 존중한다.

 

Multi-stakeholder partnerships 다양한 이해관계자간 파트너십

17.16 모든 국가, 특히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지식, 전문성, 기술, 재원을 동원하고 공유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간 파트너십으로 글로벌 파트너십을 보완한다.

17.17 파트너십의 경험과 재원조달 전략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공공 · 공공-민간 · 시민사회 파트너십을 장려하고 증진한다.

 

Data, monitoring and accountability 데이터, 모니터링 및 책무성

17.18 2020년까지 최빈국, 군소도서개도국을 포함한 개발도상국에 양질의, 시의적절하고, 신뢰가능하며, 세분화된(소득, 성별, 연령, 인종, 민족, 이주상태, 장애여부, 지리적 위치 및 기타 국별 맥락에 따라) 데이터의 가용성을 대폭 향상하기 위해 역량강화 지원을 확대한다.

17.19 2030년까지 국내총생산(GDP)을 보완해 지속가능발전 정도 측정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하며, 개발도상국의 통계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세계 시민으로서 지구의 미래를 바꾸는 행동!

지금, 당장 함께 해주세요!

 

✔ 청소년의 모든 것 

✔ 청소년활동으로 ‘안전’ 하게 ‘성장’ 하는 강원특별자치도

✔ 청소년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인식

✔ 청소년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 

 

#강원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청소년 #꼬꼬청

#UNSDGs #SDGs #ESG #지속가능 #지속가능발전목표

 

[참고자료]

알기쉬운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action/2015 Korea, 2016

유엔SDGs https://sdgs.un.org/

지속가능발전포털 https://ncsd.go.kr/

전국시족가능발전협의회 http://www.sdkorea.org/

원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http://wonju21.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