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발간자료실

제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청소년의 대안교육 참여 실태 및 지원방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5-23 조회수 114
첨부파일 다운로드 하기
  • 연구보고 23-기본06 청소년의 대안교육 참여 실태 및 지원방안.pdf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청소년의 대안교육 참여 실태 및 지원방안


저자 오해섭
공동저자 최홍일, 송원일
발행일 2023-12-31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5
 3. 연구 방법9

Ⅱ. 대안교육 정책 및 학습경험에 관한 국내외 문헌 고찰
 1. 대안교육의 사회적 맥락과 연구 동향 탐색15
 2. 대안학교 및 대안교육기관의 운영 현황 고찰19
 3. 국외 대안교육의 특징 및 시사점 분석38

Ⅲ. 청소년의 대안교육 참여 실태 조사
 1. 조사개요69
 2. 조사 도구 개발70
 3. 표본설계 및 분석 방법76
 4. 청소년의 대안교육 참여 실태 조사 결과77
 5. 대안교육 영역별 청소년 참여 실태 비교122
 6. 소결198

Ⅳ. 청소년의 대안교육 참여와 정책적 지원 방안
 1. 청소년의 대안교육 학습경험 질적 조사 및 분석205
 2. 대안교육 포럼 ‘대안교육의 현재와 나아갈 방향’ 주요 내용 및 시사점229
 3. 대안교육현장과 청소년정책의 연계협력 방안234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241
 2. 정책 제언246
 3. 향후 연구 방향254

참고문헌257

부 록265
 1. 조사표267
 2. 면담 질문지271
 3. 법정대리인 연구 참여 동의서272
 4. 학생 및 교사용 연구 참여 동의서274

국문초록277
Abstract279


초록

금년도 ‘청소년의 대안교육 참여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는 우리 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다양성 요구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증거 기반의 정책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관점에서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대안교육 전체와 영역별 현안 및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지원방안 도출과 함께 대안교육과 청소년정책 분야와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① 국내외 대안교육 제도적 기반 및 관련 정책, 대안교육 영역별 운영 현황 탐색, ② 청소년의 대안교육 참여 실태 파악을 위한 양적·질적 조사 문항 개발, ③ 청소년의 대안교육 학습경험, 변화 정도, 만족도, 개선방안 등 영역별 비교분석, ④ 청소년정책과의 연계성 모색을 포함한 현안 진단 결과를 토대로 대안교육 분야의 정책적 지원방안 도출 등이다. 연구 방법으로 국내외 문헌 고찰, 양적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FGI) 조사, 전문가 자문회의, 전문가 콜로키움, 대안교육포럼, 정책연구실무협의회 등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 개발된 정책과제는 대안교육분야 공통과제 5개는 다음과 같다.
 1) 대안교육 참여 ‘청소년 주도 학습활동 기획단’ 구성운영
 2) 대안교육 교사 연수 및 행정적 체계 구축을 담당할 ‘대안교육지원 센터 설립 및 운영’
 3) 시·도교육청과 지자체가 대안교육 현장을 지원하는 ‘민·관·학 대안교육협력 거버넌스 구축’
 4) 대안교육 현장과 청소년정책과의 연계·협력체계 구축
 5) 대안교육 참여 사유 및 다양성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 확대 지정 운영’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4개 대안교육 영역별 5개 현안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교육활동을 위한 공간, 시설, 장비 확충(대안학교, 대안교육특성화 학교, 대안교육기관)
 2) 전체 교육과정 총 시수 내에서 과목 시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학교에 교과목 편성권 부여(대안교육 특성화학교)
 3)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과 원적교 학생-교사-학부모 간의 소통채널 운영(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
 4)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의 교직원 역량강화 연수 지원(대안교육위탁교육기관)
 5) 대안교육기관의 교육철학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독립성과 자율성 보장(대안교육기관)

마지막으로 대안교육 분야의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학교와 대안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이수자 대상 사회적 이행경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대안교육 현장의 심리·정서적 위기 청소년의 증가 추세를 반영하여, 이들에 대한 돌봄과 치유를 통한 성장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가 매우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청소년 한부모’ 혹은 ‘학생미혼모’ 대상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에 대한 지원 및 시·도별 연계 방안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출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https://nypi.re.kr/brdrr/boardrrView.do?menu_nix=4o9771b7&brd_id=BDIDX_PJk7xvf7L096m1g7Phd3YC&cont_idx=813&seltab_idx=0&edomweivgp=R